百家汽车网
您的当前位置:首页用韩文写报告书

用韩文写报告书

来源:百家汽车网


서론

스키는 움츠려들기 쉬운 겨울철 자연을 벗 삼아 즐기는 스키는 현대인에게 일상생활에서 맛볼 수 없는 많은 즐거움을 가져다준. 이와 같은 스키는 생활수준의 전반적 향상과 스포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으로 인하여 대중 스포츠로서 견고하게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겨울 스포츠의 꼿이라 불리는 스키는 등산,수영,요트,원드서핑,행글라이딩 등 자연과 함께 즐기는 스포츠와는 구별되는 독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부츠나 플레이트,플 등의 용구를 사용하여 변화가 다양한 슬로프를 활강하며 즐기는 스키는 지형,눈의 양과 질,경사도 등 다양한 지연 환경에서 이루어지므로 그 운동 형태 또한 다양하다. 특히 중력에 의해 미끄러지는 힘과 설면 저항을 이용한 이덩, 스피드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회전 기술 등은 스키 기술의 핵심이다. 이와 같이 스키기 우리에게 이치는 효과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측면으로서 변화가 많은 지형에서 눈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동작을 구사해야 하므로, 전신의 근력과 중추신경계의 발달을 촉진시켜 조정력과 균형감, 판단력 등의 발달에 도움을 준다.

둘째, 정신적 측면으로서 스키는 대자연에서 펼쳐지는 운동이므로 자연의 이치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자연 환경에 물입함으로써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피드에 따른 스릴을 맛볼 수 있고, 어려운 일에 도전하여 극복함으로써 얻은 성취감은 정서적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측면으로서 스키는 단조로운 일상 생활에서 벗어나 특정 계층이나 남녀노소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함께 즐기는 가운데 협동심과 책임감 등의 바람직 한 사회성을 몸소 일힐 수 있다.

스키 장비는 스키 플레이트(ski plate), 바인딩(binding), 부츠(boots), 폴(pole)등으로 구성되며 스키 복장은 스키복, 모자, 헤어 밴드, 장갑, 고글, 양말 등이 있다.

스키의 개요

스키는 눈을 이용하는 스포츠이다. 눈에 덮인 경사를 갖춘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로 눈이라는 자연제약을 극복하는 즐거움을 찾아가는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두개의 얇은 판자로 이루어져, 경사면을 내려오면 스릴과 속도감을 느낄 수 있으며, 겨울 스포츠로써 대표적이다. 스키를 통하여 허리와 하체, 심폐기능의 향상에 도움을 수 있으며, 순발력과 지구력, 균형감각 등을 기를 수 있다.

스키의 유래와 역사

맨 처음의 스키는 오래 전에 동물의 뼈로 만들어진 것으로 스포츠로써의

스키보다는 눈위를 걷기 위한 신발 모양으로 시작되었다. 현재 실존으로 보관되어 있는 스키는 BC3000년경으로 추징한다. 그러나 역사기록이나 그 흔적을 두고 보면 노르웨이의 레디 바위에 새겨진 스키 타는 사람의 모습은 4,500년 전의 것이라고 추정되기도 하며, 스웨덴의 중부 호팅 지방에서 발견된 4,500년 전의 스키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스웨덴의 듀가르덴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이 스키는 눈이 많은 산악지방이나 빙하지역에서 거주하던 사람들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운동으로써의 스키가 아나라, 눈 위를 좀 더 빠른 보행을 위한 수단, 사냥을 위해 빠른 신발이 필요했던 인류에 의해 발명된 것이다.

예로 고대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사람들른 설원의 보행과 운반, 사냥 등을 위해서 스키를 이용하였으며, 그들에 의해 이름 지어진 ’스키’ 는 스칸디나비아의 언어로 ’얇은 판자’ 라는 뜻이다. 또 다른 유래에는 신발의 뜻으로 사용되는 노르웨이 말과 영어의 skid, skip, skiff, 및skate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위의 단어들은 모두 ‘미끄러지는 동작’과 관계가 있다고 한다.

국제 스키경기는 1924년 국제스키연맹(Federation International de Ski: FIS)do 창설된 후 시작되었으며, 같은 프랑스 샤모니에서 열리 제1회 동계올림픽경기에 크로스컨트리 스키경기와 점프경기가 실시되었다. 1936년 독일에서 개최된 제4회 동계올림픽대회에서는 활강경기와 회전경기가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오늘까지 실사되고 있다.

본론

스키장비의 구성

스키의 장비는 크게 4가지로 구성된다. 플레이트, 바인딩, 부츠, 플

스키는 한개의 판 위에 한발씩 두개의 플레이트에 두 발을 올려놓고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하강하는 스포츠이다. 우선 발을 보호하는 부츠를 착용한 상태에서 플레이트에 올려 놓는다. 회전과 스피드 조절을 위하여 폴이 이용된다.

(플레이트) (바인딩)

(헬멧) (부츠)

(폴)

스키경기 종목 및 경기 방식 스키경기는

알파인(Alpaine)과

노르딕(Norkic)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알파인

경기에는 회전, 활강, 대회전, 슈퍼 대회전 및 알파인 복합경기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올림픽 정식종목이 아닌 회전 평행경기, 속도경기 및 프리스타일 경기 등이 있다. 노르딕 경기에는 크로스컨트리, 점프, 바이애슬론 및 노르딕 복합경기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올림픽 정식종목이 아님 마라톤 경기가 있다.

알파인 스키

알파인 스키는 활강, 회전, 대회전, 슈퍼대회전 경기와 복합경기로 이루어져 있다. 유럽의 알파스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경기이기 때문에 알파 경기라고도 한다. 알파인 스키는 코스에서 상당한 제약을 지니고 있는데, 스타트 지점에서부터 골인지점까지 스키폴을 사용하는 일이 없고, 계속적으로 경사를 이루어 미끄러지는 곳이 도ㅣ어 있어야 한다. 활강, 회전, 대회전, 슈퍼 대회점은 각각 육상경기외 같이 골인지점에 들어오는 순서에 따라서 순위가 결정된다 ①. 회전 경기 (Slalom)

회전 경기는 알파인 경기 중에서 가장많은 기문을 통과하는 경기 이다. 표고차 남자 180 ~ 220m, 여자 120 ~ 180m, 코스는 20 ~27。의(33 ~45%) 경사면이어야 한다. 회전경기에는 경사가 높은 슬로프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회전기술을 요구하며, 유연성과 순발력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②. 대회전 경기 (Giant Salom)

대회전 경기는 회전 경기의 회전 스킬과 활강 경기의 속도 스킬을 합하여 평가하는 경기이다.코스의 표고차는 남자 250 ~ 400m, 여자 250 ~ 350m이어야 한다. 관문은 너비4 ~ 8m, 간격10이상으로 되어 있으며, 적색 및 청색으로 표시된다. 회정경기 보다 기문 수를 줄여 슬로프에서의 속도를 높이고 회전기술도 함께 요구하는 경기이다. 회전 경기와 동일하게 2번의 경기를 하며, 두 경기의 통과시간을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③. 슈퍼 대회전 경기 (Super Giant Slalom)

원래는 미울림픽 경기종목 이었지만, 1982년 올림픽에서 처음 경기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대회전 경기보다 슬로프의 경사가 높고 기문의 수도 더 줄여, 거의 활강경기에 가깝도록 만든 경기이다. 경기코스의 표고차는 남자코스는 최소500m, 최대650m이고, 여자코스의 350~500m이디. 지형적 조건은 슬로프에 기복이 많고 언덕진 곳이어야 하며, 너비는 30m이상이어야 한다. 그기문은6~8m간격으로 설치하며 앋힌 기문의 경우는 8~12m로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슈퍼대회전을 흥미롭게 하기 위하여2개소의 점프지역이 스토프에 설계되어야 한다. ④. 활강 경기 (Down Hill)

알파인 스키 경기 중 슬로프의 경사를 가장 높게 하는 경기이다. 속도를 중요시 하는 경기로써 보통 시속100KM이상을 질주하는 경기로써 어떤 경기 보다도 순발력을 요하는 경기이다. 다른 종목과는 다르게 3일간의 연습이 의무화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안전에 민감한 경기이기 때문애 보호장구와 헬멧에 사용이 필수적이다. 코스는 남자는 전체길이 약2,500~3,000m, 표고차800~1,000m, 여자는 전체길이 2,000m까지, 표고자500~700m이다.

노르딕 경기

 크로스 컨트리 경기 (Cross country)

스키의 마라톤이라고 불리는 크로스컨트리 경기는 표고차가 200m이하 되는 눈 쌓인 경기장을 빠른 시간 내에 완주하는 경기이다, 경기 지형은 오르막, 평지, 내리막 비율이 각각1/3구성되어 있으며, 코스를 정해진 주법(크래식, 프리)으로 완주해야 한다

 점프 경기 (Jump)

점프 경기는 노르딕 경기 중 경사면이 가장 높은 경기로써 시속90KM내외로 활강

하다가

공중도약

착지하는

경기이다.

착지거리가

통상90km,120m되도록 하며, 비약의 자세, 착지거리 등을 기준으로 20점

만접으로 접수가 계산된다

 바이 애슬론 (Biathlon)

크로스 컨트이 경기에 시격 경기를 통합한 것으로 정해진 코스를 통과하다가 지정된 사격장에서 사격자세(복사2회, 입사2회)별로5발씨 사격 후 코스 완주하는 경기이다. 사격이 명중되지 않으면 실패한 만큼150m씩의 패널티로 더 코스가 연장된다

 콤바인(복합)

스키점프(K=90m) 점수와경기이다

 프리스타일 (Free Style)스키

샤로운 시도로 시작된 스키종목으로 프리스타일 스키에는 에어리얼경기, 모걸경기, 발레경기 있다 스키의 기술

초급

스키를 신ㄱ 벗을 때는 부츠 바닥에 붙이 있는 눈과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고 신고 것이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부츠의 앞 바인딩을 홈에 잘 맞추고 뒷바인딩을 맞추어 뒷꿈치 쪽으로 강하게 밟아 준다.

15Km(Free)크로스컨트리 경기점수를 합산하는

스키 운반 방법

스키를 운반 할 때는 뒷사람과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어서는 안되며 주위를 살펴보지 않고 운반할 때는 남에게 상해를 입힐 수도 읶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스킹이 끝난후 스키를 벗고 반드시 눈을 제거한 후 이동해야 되며 두 스키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이동한다,

어깨에 올려놓거나 스키를 세워 앞쪽으로 해서 들고 이동하거나, 지면과 수평이 되게 스키를 옆으로 잡고 운반한다 준비운동

스키를 타자전에 몸을 유연하게 하기 위해서 부츠를 신고 하거나 바인딩에 고정시키고 하는 여러가지 동작이 있지만 자신이 평소 하는 스트레칭 운동이 있다면 동일하게 해주면 좋다. 별다른게 있는 건 아니니까 몸에 긴장을 없애고 유영ㄴ하게 해 안전사고를 예반하고 스키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몸의 컨디션 조절에 필요한 것이므로 반드시 해주어야 한다.

걷는 방법

스키를 눈 위에서 처음 밀어서 옮기는 동작으로써 미끄러지는 감각과 균형의 익히는 것으로 평지에서 스키를 신고 사람이 걷는 보통 걸음으로 오른쪽 스키와 왼쪽 풀을 같이 앞으로 내보낸다. 왼쪽 스키와 오른쪽 폴은 같은 시간에 뒤로 보낸진다. 또한 양폴을 롱시에 짚고 밀어내어 앞으로 이동한다 서는 법

스키를 신고 설면에 서는 자세는 몸을 전체적으로 곧게 펴고 발목을 구부려 하퇴부를 약간앞으로 구부린 자세이다. 시선을 자연스럽게 전방을 주시하고 팔은 자연스럽게 내려 폴을 잡는다. 엉덩이는 뒤로 내밀지 않고 인체중심이 발의 부분에 실리게 한다, 부츠를 신고 있기 떼문에 앞쪽으로 기울리게 해도 넘어지지 않으므로 저연스럽게 중심을 앞쪽으로 할 수 있다. 사슴에 항아리를 안고 생각하면 된다

방향 바꾸기

스키를 타다보면 바향전환의 필요성 많이진다. 평지나 경사진 슬로프에서 마음대로 스키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알아두어야 할 기본 기술이다. 방향전환에는 스타턴(star turn)과 킥턴(kick turn)이 있다

 스타턴 (star turn): 스키의 앞,뒷 부분을 이동하여 방향 전환하는 방법으로 한

번 스키를 들어 이동시 3~40cm정도 들어 돌고자하는 방향으로 옮긴다. 이 떄 폴은 이동 폭 만큼 짚어 균형을 유지한다.

 킥턴 (kick turn): 평지에서 방향전환하기에는 제일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단지할 때에 주위 를 환기하고 실시하며 경사진 슬로프에서

하기에 적합하다.

경사진 슬로프에서 할 경우 슬로프와 수직이 되게 자세를 잡은 다음 양폴을 집고 스키는 경사각도에 맞게 미끄러지 않도록 앳지를 준다

산쪽스키에 체중을 싣고 반대스키를 들어 90도로 세우고 방향 전환을 해 엇갈라게 한다.

돌리 스키에 체줗을 주고 나머지 스키를 돌려 방향전환을 한다. 이때 주의 할 점은 스키를 옮길 때 스키가 폴레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폴을 약간 멀리 짚는다

경사변 오르기

스키를 타답보면 넘어지면서 흘러 내려오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때 소지품을 분실하거나 폴을 놓치는 경우 기타 여려가지 상황이 발생할 경우가 많다. 또한 계단오르기나 V자 오르기로 준비운동한다면 더 할 나위 없다

 계단오르기/사등행 (side stepping): 계단 오르기 처럼 한발 이동시켜 오르는

동작이다. 양폴을 집고 스키는 엣지을 가하여 선 다음 계곡쪽 스키에 체중을 싣고 산족 스키를 윗쪽으로 들어 옮긴다. 다음 반대발을 들어 산쪽으로 이동하면서 반복하여 경사진 슬로프를 이동하는 방법이다.

 V자 오르기 (가위자 오르기): 이 방법은 비교적 체력소모가 많고 슬로프

경사도가 낮고 이동거리가 짧은 경우 사용한다. 산정상을 향하여 스키 앞 부분을 V자 형태로 넓힌다.

이때 폴은 스키뒤에 짚어 걸리지 않게 폴 손잡이를 움켜잡아 앞으로 미는 힘을 얻는다

경사 각도가 클 경우 스키를 더 벌려 이동한다

넘엊졌다 일러나는 법

스키를 타는 동안 넘어지는 횟수에 차이는 있겠지만 넘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며, 대부분 갑작스럽게 넘어지게 된다, 특히 초보자들은 스키의 이동 속도가 빨라졌을 때 제동을 거는 시술을 잘 모른다거나 그 기술을 알더라도 당황하여 넘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타인과 충돌하기 전에도 넘어져 사고를 모면하는 경우도 있다. 스킹을 하는 동안 넘어질 때 속달되지 않으면 장비에 다칠 경우나 스키장 안정시설에 부딪칠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기에 넘어지는 것을 속달하여 즐거운 스킹이 되도록 해야겠다

 넘어지기: 넘어질 때 무리한 동작으로 버티지 말고 자연스럽게 넘어가야

한다

 일러서기: 넘어졌을 때에 슬로프에 오래 누워 있거나 앉아 있으면 2차

충돌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바로 알어나기를 하거나 슬로프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재정비한다.

직활강 따라하기

직할강은 패러렐 스탠드를 취하고 자세는 높게 취하는 것이 좋다. 스키와 몸전체가 떨러지면서 속도감을 익히고 쾌감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어야한다. 시선은 전방을 바라본다

상체는 부드럽게 하고 어깨의 힘을 뺄 것 폴의 그럽은 가볍게 잡고 시선에 들어오게 한다 허리를 끌어 당기지 말고 떨어뜨린다는 생각으로

발목은 확살히 굽히고 무릎은 가볍게 구부려서 스프링 역하ㄹ을 한다.

직활강은 최초의 방향설계를 하기 위한 미끄러지는 기본 원칙이며 구체적인 이미지응 구상하는 것이다. 직활강시 유의할 점은 스키의 넓이는 약10~20cm가 적당하며 상체를 약간앞으로 구부리고 팔을 앞으로 가볍게 뻗은 상태에서 옆으로 약간 넓게 위치시킨다. 보다 효과적인 직활강을 연습하기 위하여 신설, 보통사면의 눈, 딱닥한 눈에서 여러 가지 몸동작을 연습해 보는 것을 중요한다 중급

슈템턴의 기초

플루크 보겐을 연습한 후 회전의 감각을 익힌 후에 발모아타기(11자)로 모아 회전하는 기술을 슈템턴이라고 하는데 초급에서는 사면으로 활주시에는 발모아타고 외전할 때는 A자로 벌여 회전하는 단계를 완전히 익힌 후에는 회전동작도발모아 회전하는 게 슈템턴의 기준이다

 위쪽의 스키를 A자로 벌려 방향전환: 산쪽 슈템턴

플라인의 위쪽으로 회전하는 부분에서는 스키를 평행으로 유지하면서 회전을 완료한다. 위쪽 스키를 A자로 벌리고 체중을 실으면서 방향을 전환한다. 벌린발 안쪽의 엄지발가락부터 뒤꿈치 라인으로 체중의 중심을 옮기면서 폴라인으로 활주해 간다.

이 때 상체나 허리가 틀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아래쪽 스키를 A자로 벌려 방향전환: 계곡쪽 슈템턴

스키 조작에 익속해져서 속도를 낼정도가 되면 A자 자세로 활주하는 플루크 보겐이나 A-11자의 혼합형인 스템턴으로 만족할 수가 없다. 가능하면 스키를 평행으로 유지하며 활주하는 패럴렐턴을 마스터 하고 싶어 하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양스키를 동시에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전환하는 타이밍에 맞춰 스키를 교차하듯 몸의 중심도 바꿔 주어야 한다.

그러브로 계곡쪽 슈템턴 처럼 몸의 중심을 위쪽 스키로 옮기고 나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동시에 스키와 체중을 직접적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우선은 몸의 중심을 다음 회전의 안쪽 발로 옮겨가며 계곡쪽 스템턴을 연습해 보자

회전하는 바깔쪽 발에 체중을 신고 스키를 힘쩟 밟으면서 외전을

마무리한다.

여기에서 한층 더 아래쪽 발에 힘을 주고 그반동을 이용하여 폴라인 방향으로 몸을 틀면서 스키를 평평한 상태로 만들어 준다. 그 타인밍을 맞춰 다음의 바깔쪽 발로 체중을 옮겨 주면 라인을 그대로 유지한 채 곧바로 몸의 중심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중급을 벗어나는 테크닉

 한발로 타기

스키장에서 한쪽 발을 들어 다른 한발로 스키를 탄다.

중급수준에 스키어들은 쉽게 할 수있는 동작이다. 들고 있는 다른 한발로 좌우 돌려보기도 하고 아래위로 흔들러 보기도 하면서 중심을 잡는 연습을 하면 된다. 이때 한발로 타다보면 다른 발레서 자연스럽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어느 한쪽에 체중이 싣게 되면 그때부터 회전은 시작된다고 보면 되는 것이다/ 발을 교차로 바꿔가면서 균형감각과 체중이동의 개념을 생각하면 될 것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체중이동과 회전의 관계를 알게 될 것이다. 이렇게 연습하다 스키를 드는 정도를 적게 하여 지면에 스치듯이 하면서 발을 바꿔보면 패럴턴은 쉽게 할 수 있다.  바깥쪽 스키로 탄다.

모든 상급스키어들른 바깔쪽 스키로만 스키를 탄다. 대회전이나 활강 경기에서도 바깥쪽 스키로 카빙을 그이며 활강하게 된다. 위에 한발로 타기를 연습하여 바깔쪽 스키로 타고 턴을 조정하는 기술을 익히게 될 것이다. 이는 회전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 질 것이다. 자세는 편안하게 서고 스키의 가운데 똑바로 서고 중앙에 서 밌도록 한다. 안쪽 다리 편안하게 붙여가고 힘을 가하면 안된다  자세

자세는 가능한 편안하게 똑바로 서자 기존의 틀레서 벗어나자, 낮고 구부리면서 타는 자세는 다리의 피로가 쉬이 오며 상체의 유연함을 가지지 못하고 체력소모가 크다.  사이드 슬리핑 (side slipping)

사이드 슬리핑이란 스키를 폴라인과 수직이 되도록 놓은 채 체중을 계곡쪽 스키에 두고 옆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기술을 말하는데 이는 회전의 감각과 에지의 감각을 익히기 위한 방법이다. 사이드 슬리핑은 사황강을 할 때 아래쪽 스키에 체중을 옮기지 못하고 양쪽 다 체중을 주고 내려 갈 때 밀려 내려가는 느낌을 많이 받았을 것이다. 그것이 사이드 슬리핑이다. 사이드 슬리핑을 연습하는 것은 패럴턴의 원리와 균형감각과 체중의 전의를 통한 스키의 진행에 대해 익히기 위해 흔히 연습하는 방법이다. 사이드 슬리핑을 연습할 때는 폴라인과 수직으로 놓으로 놓은 스키를 산 경사각도와 같게 부릎은 앞쪽을 구부리고 체중은 계곡쪽 스키에 주면 슬리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중급 스키어들이 범하는 오류

중급 스키어들은 동근 곡선을 그리면서 스키를 타지 않고 양쪽 발을 갑자기 한꺼번에 틀어서 턴을 하기 때문에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 이것은 양쪽 스키에 모두 무게를 싣고 턴을 하기 때문에 스키가 만들어 내는 유연한 곡선의 회전을 만들 수 없다.

이제껏 위에서 언급했던 한발 스키가 되자 않고 있다는 것이다. 체중이동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수준의 중급 스키어들은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턴을 할 수 있지만 스키날로 만들어지는 동근곡선의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된다

결론

이번 겨울방학을 대비하며 현대생활에 생활 스포츠화 돤 스키를 비싸서 개인적으로 배울 엄두를 못 냈던 내게 학교 수업을 통해 조금이라도 배울게 되는 계기가 될 겁니다 이번 과제를 함으로 전무했던 스키 지식에 대해 살곁으로 이해를 하게 됩니다.일단 과제 내용으로는 초급 스키 위주로 조사,레포트를 작성합니다. 이 과제를 해서 스키 타는 기초지식을 많이 배웠습니다, 이제 겨울방학 스키장에 가고 스키할 것 많이 기대합니다.

因篇幅问题不能全部显示,请点此查看更多更全内容